![](/images/sub_visual/sub_visual1.jpg)
과정의 목적
- 新정부의 국정100대 과제 中 5년간 50조원의 재원이 투입되는 『도시재생뉴딜』 추진 공모사업에 응모하기 위한
아이디어 및 과제 개발
- 도시재생의 아이디어와 함께 연계되는 지역상권 활성화 및 일자리창출 아이디어 개발
- 공모사업개발과 사업기획을 위한 실행기법교육을 통해 정책기획력 향상
아이디어 및 과제 개발
- 도시재생의 아이디어와 함께 연계되는 지역상권 활성화 및 일자리창출 아이디어 개발
- 공모사업개발과 사업기획을 위한 실행기법교육을 통해 정책기획력 향상
기대 효과
- 매년 실시되는 국토부 및 광역지자체의 도시재생뉴딜공모사업에 선제적 대응키 위해 선제적으로 지역맞춤형 특색있는 도시재생사업 대상 아이디어 발굴
- 사업선정 가이드라인에 대한 명확하고 용이한 분석을 통해 평가를 위한 주요 내용에 대한 (기본)사업실행계획서 작성
- 과제 사업의 필요조건과 정밀 분석을 통해 사업 추진계획서 작성
- 사업선정 가이드라인에 대한 명확하고 용이한 분석을 통해 평가를 위한 주요 내용에 대한 (기본)사업실행계획서 작성
- 과제 사업의 필요조건과 정밀 분석을 통해 사업 추진계획서 작성
운영 방법
- 1차수 30명(팀별 3명, 총10팀 편성 : 과제별 탄력적 편성)
- 사업개발기법과 사례 및 Sheet를 활용한 Workshop방식으로 진행
- 10개 팀별 Workshop결과(①지역환경분석, ②SWOT분석, ③후보과제 분석표, ④과제실행계획서 등)를 KPAc 종합평가의견과 함께 ‘과제개발 Workshop보고서’로 제공
- 사업개발기법과 사례 및 Sheet를 활용한 Workshop방식으로 진행
- 10개 팀별 Workshop결과(①지역환경분석, ②SWOT분석, ③후보과제 분석표, ④과제실행계획서 등)를 KPAc 종합평가의견과 함께 ‘과제개발 Workshop보고서’로 제공
운영 예산
- 1차수(30명)/3일 기준 1,500만원(숙·식/교육장 별도, 포함시 2,000만원)/VAT별도
(교육장 출·도착 차량 및 팀별 노트북 : 지자체 자체 준비)
- 예산항목 : 정책(과제)개발비, 연구용역비, 교육비
- 주관부서 : 도시재생추진사업단(과), 기획(예산)실(과), 행정자치과(총무과)
(교육장 출·도착 차량 및 팀별 노트북 : 지자체 자체 준비)
- 예산항목 : 정책(과제)개발비, 연구용역비, 교육비
- 주관부서 : 도시재생추진사업단(과), 기획(예산)실(과), 행정자치과(총무과)
![](/images/subimg/02_11.jpg)
![](/images/subimg/02_11_2.jpg)
커리큐럼
일차 | 교과목 | 시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---|
1일차 | M1지역현황 분석 | 10:00-12:00 | - 자연자원 및 역사인문자원 조사 - 지역쇠퇴도 분석 - 지역개발관련 기존 사업 검토 |
|
M2지역 답사 결과 분석 사례 조사 | 13:00-16:00 | - 지역현황 및 대상지 조사결과 분석 - 지역 사례 조사 |
||
지역특성 종합 | 16:00-18:00 | -과제 성격과 지역특성과의 부합성 검토 | ||
2일차 | 도시개발/도시재생 개념과 정책 이해 | 09:00-10:30 | -국토교통부 등 도시재생사업 검토 - 해당 지자체 및 기존 사례 검토 - 산업 구조의 이해-사업 유형 설정산 - 개발 및 추진방향 및 콘셉트 설정 |
|
10:30-12:00 | ||||
계획서 작성 및 평가 | 13:00-15:00 | -연계사업 분야 및 과제 발굴 - 주요 사업 내용 발표 및 토론 |
||
사업계획서 (기본) | 15:00-18:00 | - 사업 가이드라인 및 수립지침 면밀 검토 - 사업구성 예시-연계사업 세부과제 등 작성 - 과제 실행 총괄계획서 초안 작성 |
||
3일차 | 과제별기본계획서작성 | 일반현황 | 09:00-15:00 | - 사업 대상지 면적 - 사업규모, 위치도 등 상세계획 |
사업시급성필요성 | - 지역 쇠퇴 정도 - 재생 시급성 |
|||
사업계획 적절성 | - 추진체계 구축 - 목표설정 및 기본구상-주민참여 및 역량강화 |
|||
주거복지삶의 질 | - 주민 생활환경 개선도 - 복지시설 등 공간계획 |
|||
사업통합지속가능성 | - 둥지 내몰림 대응책 등 - 지속가능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|
|||
발표/정리 | 15:00-17:00 | - 사업계획서 발표 및 평가/정리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