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정의 목적
-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‘사회적경제(가치) 활성화’ 정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지역경제 접목방안 모색
- 지역 맞춤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모델 및 실천방안 발굴과 사회적 경제 육성 및 일자리 중심의 행정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함
- 지역 맞춤형 사회적 경제 활성화 모델 및 실천방안 발굴과 사회적 경제 육성 및 일자리 중심의 행정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함
기대 효과
- 지역맞춤형 사회적 경제 아이디어(사업/정책) 발굴 및 사업/정책 개발역량 강화(분야별 진출(성장) 방안 개발-소셜벤처, 사회서비스, 주거환경, 문화예술관광, 프랜차이즈, 농산어촌 지역자원, 산림, 협동조합 등등)
- 사회적경제 기본 3법(사회적가치실현법, 사회적경제기본법, 사회적경제기업제품 판로지원법)을 위시한 ‘사회적 경제 성장인프라’에 대한 개념과 적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
운영 방법
- 1차수 30명(팀별 3명, 총10팀 편성)
- 정책/사업 개발기법과 사례 및 Sheet를 활용한 Workshop방식으로 진행
- 10개 팀별 Workshop결과(①지역환경분석, ②SWOT분석, ③후보과제 분석표, ④과제실행 계획서 등)를 KPAc 종합평가의견과 함께 ‘사회적경제 활성화 과제개발 Workshop 보고서’로 제공
- 정책/사업 개발기법과 사례 및 Sheet를 활용한 Workshop방식으로 진행
- 10개 팀별 Workshop결과(①지역환경분석, ②SWOT분석, ③후보과제 분석표, ④과제실행 계획서 등)를 KPAc 종합평가의견과 함께 ‘사회적경제 활성화 과제개발 Workshop 보고서’로 제공
운영 예산
- 1차수(30명)/3일 기준 1,500만원(숙·식/교육장 별도, 포함시 2,000만원)/VAT별도
(교육장 출·도착 차량 및 팀별 노트북 : 지자체 자체 준비)
- 예산항목 : 정책(시책)개발비, 연구용역비, 교육비
- 주관부서 : 기획(예산)실(과), 일자리정책과, 미래전략추진단, 사회적경제과, 총무과(자치행정과), 인사팀/교육팀/인재개발팀
(교육장 출·도착 차량 및 팀별 노트북 : 지자체 자체 준비)
- 예산항목 : 정책(시책)개발비, 연구용역비, 교육비
- 주관부서 : 기획(예산)실(과), 일자리정책과, 미래전략추진단, 사회적경제과, 총무과(자치행정과), 인사팀/교육팀/인재개발팀
커리큐럼
일자 | 모듈/교과목 | 내 용 | 시간 |
---|---|---|---|
1일 차 | 거시 환경변화 이해 | •새로운 일자리 보고로서의 사회적 경제 패러다임 •경제·사회적 환경 변화의 이해 |
1H |
국정방향과 지역균형발전전략 | •문재인 정부 역점 정책과 지역일자리창출정책 •지역발전정책과 지역 일자리창출 |
1H | |
사회적 경제의 발견 | •사회적 경제의 출현 배경과 의의 •사회적 경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•사회적 경제의 어제와 오늘 |
1H | |
사회적 경제 정부 정책의 이해 | •사회적 경제 법적 기반 이해(사회적경제 기본 3법) •사회적 경제 성장인프라 이해 •문재인 정부 사회적경제 정책방향 Review |
1H | |
지역 환경분석 | •지역 환경 Key-Factor 도출 •지역 인구, 인문, 경제, 사회, 자연환경 분석 |
1H | |
부문별 SWOT분석 | •부문별 SWOT분석 •SWOT Matrix를 이용한 전략 도출 |
2H | |
2일 차 | 지역 사회적 경제 평가 | •정책성과 분석과 평가방법의 이해 •기존 지역 사회적 경제 추진활동의 성과와 과제 |
2H |
사회적 경제 과제 Pool 개발 | •활성화(신규추진)과제 설정과 사례연구 •부문/팀별 과제 Pool 도출 •<소셜벤처> <사회서비스> <주거환경> <문화예술관광> <프랜차이즈> <농산어촌 지역자원> <협동조합>…... |
3H | |
추진과제 선정 | •부문별 추진 과제 분석과 팀별 과제 선정 | 3H | |
3일 차 | 추진계획 수립 | •사회적 경제 추진계획 토론 및 작성 •개요, 필요성, 특성, 방향, 예산, 조직, 운영방안 |
3H |
추진 과제 발표 | •추진 과제 발표 및 Review | 2H | |
정리 및 강평 | •종합평가 및 강평 | 2H |